반응형 두 국가 해법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5)휴전, 가능할까?_2> 《 목 차 》 · 서론 · 국제사회, 방관자인가 중재자인가? · 세계 각국 "휴전으로 민간인 희생 멈춰야" · 이스라엘 "인질 석방 없이 휴전은 없다" · 휴전과 평화, 가능할까? 국제사회의 움직임과 이에 대한 이스라엘 반응은 어떠한지 현지 언론을 통대로 간략히 다뤄보겠습니다. 세계 각국 "휴전으로 민간인 희생 멈춰야"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충돌 초기에는 대다수 국가가 하마스의 행동을 비인간적이고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며 비난했습니다. 하지만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의 민간인 거주지역, 병원, 난민캠프를 연이어 공습하자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민간인 희생을 멈추라며 이스라엘을 규탄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중동의 목소리 아랍국가들은 조건없는 즉각적인 휴전을 원한다면서 미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 2023. 11. 15.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3)주변국의 입장. 요르단> 《 목 차 》 · 이·팔 분쟁에 요르단이 등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요르단·팔레스타인·이스라엘, 3국 관계는? · 이스라엘에 빼앗긴 서안지구, 요르단이 취한 행동은? · 요르단이 바라보는 이·팔 분쟁은? 10월 7일부터 시작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하마스 간 충돌이 격화되면서 중동과 서방세계의 상황이 매우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당초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스라엘 방문을 마친 뒤 요르단에서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 압델 파타흐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4자 회담을 갖고 인도주의적 지원과 확전 방지 노력을 촉구할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17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병원 폭발 참사가 발생하자 요르단을 비롯한 여러 아랍국은 즉각 이스라엘 비난 성명을 냈습.. 2023. 10.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