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쟁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2)주변국의 입장. 레바논> 《 목 차 》 · 서론 · 헤즈볼라, 그들은 누구인가? · 헤즈볼라의 입장이 레바논의 입장인가? · 헤즈볼라의 입장은? 지난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상대로 '알 아크사 홍수 작전(Al Aqsa Flood)'을 펼친 후, 전 세계가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헤즈볼라가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충돌에 본격 개입한다면 이번 분쟁은 중동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동시에 이스라엘은 남부 지역에서는 가자지구의 하마스를, 북부 지역에서는 레바논의 헤즈볼라를 동시 상대하는 양면전을 피할 수 없게 됩니다. 현 사태의 판도를 바꿀 수도 있는 헤즈볼라, 그들은 누구이며 앞으로 어떤 행보를 보이게 될까요? 중동 대표 언론매체인 알자지라(Al Jazeer.. 2023. 10. 18.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주변국의 입장. 이집트> 《 목 차 》 · 서론 ·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인접국 · 이집트는 이번 사태를 미리 알고 있었다? · 이집트의 입장은? 최근 며칠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충돌이 세계 각국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분쟁은 화해와 갈등을 반복하며 70여 년간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난한 분쟁에 얽혀있는 당사국들은 다양합니다. 유대인들의 나라를 세워주겠다고 약속해 갈등의 불씨를 만든 영국, 국제법에 반하여 팔레스타인 지역에 거주하는 아랍인들을 몰아내고 영토 불법 점령 및 정착촌 조성·확장하는 이스라엘, 그러한 이스라엘을 지지하며 갈등의 불씨를 키우는데 일조한 미국, 이스라엘을 완전히 몰아내겠다며 무력 충돌(전쟁)을 불사하는 팔레스타인과 그에 인접한 아랍국들. 이 외에도 분쟁에 직간접적으로 영향.. 2023. 10.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