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르단3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4)가자지구 주민들은 어디로_2> 《 목 차 》 · 서론 · 가자지구는 어떤 곳인가? · 가자지구의 운명은 언제 달라진 것일까? · 가자지구의 현 상황은? · 가자지구 주민들은 어디로 가야하나? 가자지구의 현 상황은? 완전한 봉쇄 가자지구는 식량, 물, 전기, 연료, 의약품, 통신 등 생활에 필수적인 대부분을 이스라엘에 의존합니다. 전쟁 시작 3일 만에 이스라엘은 모든 공급을 차단했고 가자지구에 집중 포격을 가했습니다. 때문에 주민들이 겪고 있는 참혹한 상황은 생지옥과 다를 바 없습니다. 지난 21일부터 가자지구 남부의 라파 검문소로 구호물자가 반입되기 시작했습니다. 29일 구호트럭 118대 분량의 물자도 보급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양은 턱없이 부족했고, 주민 수천 명이 유엔 구호품을 약탈해 가는 상황도 발생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이.. 2023. 11. 14.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3)주변국의 입장. 요르단> 《 목 차 》 · 이·팔 분쟁에 요르단이 등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요르단·팔레스타인·이스라엘, 3국 관계는? · 이스라엘에 빼앗긴 서안지구, 요르단이 취한 행동은? · 요르단이 바라보는 이·팔 분쟁은? 10월 7일부터 시작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하마스 간 충돌이 격화되면서 중동과 서방세계의 상황이 매우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당초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스라엘 방문을 마친 뒤 요르단에서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 압델 파타흐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과 4자 회담을 갖고 인도주의적 지원과 확전 방지 노력을 촉구할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 17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병원 폭발 참사가 발생하자 요르단을 비롯한 여러 아랍국은 즉각 이스라엘 비난 성명을 냈습.. 2023. 10. 28.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주변국의 입장. 이집트> 《 목 차 》 · 서론 ·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인접국 · 이집트는 이번 사태를 미리 알고 있었다? · 이집트의 입장은? 최근 며칠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충돌이 세계 각국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분쟁은 화해와 갈등을 반복하며 70여 년간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난한 분쟁에 얽혀있는 당사국들은 다양합니다. 유대인들의 나라를 세워주겠다고 약속해 갈등의 불씨를 만든 영국, 국제법에 반하여 팔레스타인 지역에 거주하는 아랍인들을 몰아내고 영토 불법 점령 및 정착촌 조성·확장하는 이스라엘, 그러한 이스라엘을 지지하며 갈등의 불씨를 키우는데 일조한 미국, 이스라엘을 완전히 몰아내겠다며 무력 충돌(전쟁)을 불사하는 팔레스타인과 그에 인접한 아랍국들. 이 외에도 분쟁에 직간접적으로 영향.. 2023. 10.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