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집트3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5)휴전, 가능할까?_1> 《 목 차 》 · 서론 · 국제사회, 방관자인가 중재자인가? · 세계 각국 "휴전으로 민간인 희생 멈춰야" · 이스라엘 "인질 석방 없이 휴전은 없다" · 휴전과 평화, 가능할까? 지난 10월 7일 시작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의 가자전쟁이 장기화되는 모양새입니다. 무장정파 하마스가 가자지구 분리장벽을 넘어 이스라엘 남부를 급습하고 민간인을 납치·살해했습니다. 이에 반격하여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전역에 폭격을 가하고 있습니다. 국가안보와 국민보호를 위해 전쟁을 멈출 수 없다는 이스라엘, 이스라엘로부터 오랜 삶의 터전을 지키고 독립을 실현해야 한다는 하마스, 양측의 서로 양보할 수 없는 명분이 전쟁을 격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물적·인적 피해도 상당합니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보건부 미디어실 책임.. 2023. 11. 14.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4)가자지구 주민들은 어디로_2> 《 목 차 》 · 서론 · 가자지구는 어떤 곳인가? · 가자지구의 운명은 언제 달라진 것일까? · 가자지구의 현 상황은? · 가자지구 주민들은 어디로 가야하나? 가자지구의 현 상황은? 완전한 봉쇄 가자지구는 식량, 물, 전기, 연료, 의약품, 통신 등 생활에 필수적인 대부분을 이스라엘에 의존합니다. 전쟁 시작 3일 만에 이스라엘은 모든 공급을 차단했고 가자지구에 집중 포격을 가했습니다. 때문에 주민들이 겪고 있는 참혹한 상황은 생지옥과 다를 바 없습니다. 지난 21일부터 가자지구 남부의 라파 검문소로 구호물자가 반입되기 시작했습니다. 29일 구호트럭 118대 분량의 물자도 보급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양은 턱없이 부족했고, 주민 수천 명이 유엔 구호품을 약탈해 가는 상황도 발생하기에 이르렀습니다. 특히 이.. 2023. 11. 14.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주변국의 입장. 이집트> 《 목 차 》 · 서론 · 팔레스타인-이스라엘 인접국 · 이집트는 이번 사태를 미리 알고 있었다? · 이집트의 입장은? 최근 며칠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충돌이 세계 각국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의 분쟁은 화해와 갈등을 반복하며 70여 년간 지속되고 있습니다. 지난한 분쟁에 얽혀있는 당사국들은 다양합니다. 유대인들의 나라를 세워주겠다고 약속해 갈등의 불씨를 만든 영국, 국제법에 반하여 팔레스타인 지역에 거주하는 아랍인들을 몰아내고 영토 불법 점령 및 정착촌 조성·확장하는 이스라엘, 그러한 이스라엘을 지지하며 갈등의 불씨를 키우는데 일조한 미국, 이스라엘을 완전히 몰아내겠다며 무력 충돌(전쟁)을 불사하는 팔레스타인과 그에 인접한 아랍국들. 이 외에도 분쟁에 직간접적으로 영향.. 2023. 10. 13.
반응형